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 방법!

 

 

소득이 있는 분들이라면 모두가 납부 의무를 가지고 있는 국민연금은 만 60세까지 보험료를 10년 이상 납부하면 빠르면 66세 보통의 경우에는 만 65세부터 연금을 평생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노령연금을 받는 연령은 1952년생까지는 만 60세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령화 사회 추세를 반영해 지급연령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1953~1956년생은 61세, 1957~1960년생은 62세, 1961~1964년생은 63세, 1965~1968년생은 64세, 그리고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노령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1998년 말에 법이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즉 2012년(1952년생 이전)까지만 해도 만 60세에 노령연금을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2013년(1953년생부터)부터 만 61세로 늦춰졌다고 합니다. 또한 2018년(1957년생부터)부터는 만 62세로 수급연령이 늦춰졌으며 1969년 이후 출생자의 연금수급개시 연령이 만 65세로 늦춰지게 됐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및 수령개시 연령은 위표와 같다고 합니다.

참고 하시면 될 것 같구요.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및 국민연금공단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는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먼저 공인인증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공인인증서 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민연금예상월액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첫번째 방법은 공인인증서 없이 알아보기 방법이라고 합니다. 다음이나 네이버, 구글 등의 검색창에 국민연금을 검색 한 후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합니다. 다음 왼쪽 하단에 있는 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내연금 알아보기 항목에서

인증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 알아보기 항목이 보입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과 예상연금 간단조회 두가지 항목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주 간단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연금 알아보기에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클릭합니다.

이 후 월 납입 보험료 항목에 보험료를 입력해 줍니다.

그런 다음 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클릭하게 되면

소득기준과 함께 연금별 지급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방법은 노령 및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과정 없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은 기본정보 및 소득, 크레딧 대상 입력 후 결과보기를 클릭해 예상연금을 조회해 볼 수 있는 항목이라고 합니다. 다만 다만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인증을 한 후에 예상연금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므로 계산할 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예산연금 모의계산 항목은 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된다고 합니다. 때문에 이 점은 참고해야 합니다.

 

 

국민연금공단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 두번째 방법은 공인인증서로 인증하고 알아보기 방법입니다. 먼저 위에서 했던 방법처럼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한 다음 내연금 알아보기 바로알아보기를 클릭해 줍니다. 

 

 

인증하고 내연금 알아보기 항목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예상수령액이 얼마인지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이 또한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예상수령액은 현재 기준과 최근 5년간 소득상승률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최저는 3.2%, 평균은 4.0%, 최고는 4.9%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오른쪽 상단에서 본인이 직접 선택해서 비교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세번째 방법은 예상연금월액표로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는 지금까지 낸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예상되는 가입기간을 적용하여 예상수령액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예상연금월액 표에서는 현재 내고 있는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400만원의 소득에 360,000의 보험료를 20년 동안 낸다고 했을 때 매월 648,600원의 연금을 지급 받을 수 있음을 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예상 월액표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야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를 통한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방법 및 국민연금공단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어요.